2009년 무도 아시안 게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9년 무도 아시안 게임은 2009년 8월 1일부터 8월 9일까지 태국 방콕과 수판부리에서 개최된 국제 종합 무술 대회이다. 당초 4월에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태국 내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해 연기되었다. 유도, 주짓수, 가라테, 킥복싱, 쿠라쉬, 무에타이, 펜칵 실랏, 태권도, 우슈 등 9개의 무술 종목에서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37개국이 참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9년 태국 - 태풍 켓사나 (2009년)
2009년 태풍 켓사나는 필리핀,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태국에 큰 피해를 입혀 수백 명의 사망자와 수십만 명의 이재민을 발생시키고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여 이름이 제명된 강력한 태풍이다. - 2009년 태국 - 산티카 클럽 화재
2009년 새해맞이 파티 중 태국 방콕의 산티카 클럽에서 발생한 화재로 60명 이상이 사망하고 100명 이상이 부상당했으며, 미흡한 안전 관리와 초기 진화 실패, 불법 운영, 부정부패 등이 드러나 사회적 파장을 일으킨 사고이다. - 2009년 스포츠 - 2009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2009년 동계 유니버시아드는 2009년 중국 하얼빈에서 개최되었으며, 중국이 종합 1위를, 대한민국은 3위를 기록했다. - 2009년 스포츠 - 2009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2009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는 라오스 비엔티안에서 2009년 12월 9일부터 18일까지 개최된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로, 라오스에서 처음 개최되었으며 25개 종목이 진행되었고, 라오스는 대회 역사상 최고의 성적을 거두었다. -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 - 2017년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
2017년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은 아시가바트에서 개최된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주최의 국제 스포츠 대회로, 아시아와 오세아니아 국가들이 참가하여 21개의 정식 종목과 e스포츠 시범 종목에서 경쟁을 펼쳤으나, 도핑 문제로 논란이 있었다. -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 -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 풋살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 풋살은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에서 2005년부터 2017년까지 진행된 풋살 종목의 대회이며, 남자부는 이란이, 여자부는 일본과 태국이 우승을 차지했다.
2009년 무도 아시안 게임 | |
---|---|
대회 개요 | |
정식 명칭 | 제1회 아시아 무술 경기 대회 |
영문 명칭 | I Asian Martial Arts Games |
슬로건 | 정신의 경기 – 미소의 땅 (The Games of Spirit – The Land of Smiles) |
개최 도시 | 태국 방콕 |
참가국 | 37개국 |
참가 선수 | 892명 |
경기 종목 | 9개 종목, 108개 세부 종목 |
개막일 | 2009년 8월 1일 |
폐막일 | 2009년 8월 9일 |
개회 선언 | 마하 와치랄롱꼰 태국 왕세자 |
선수 선서 | Patiwat Tongtalub |
심판 선서 | Jatuporn Hemwanno |
성화 점화 | 토니 자 |
주 경기장 | 후아마르크 인도어 스타디움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없음 |
다음 대회 | 2013년 |
기타 | |
연기 정보 | 2009년 아시아 무술 경기 대회는 연기되었다. |
![]() |
2. 대회 준비 과정
제1회 아시아 무술 게임은 본래 4월 25일부터 5월 3일까지 태국 방콕에서 개최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개최국인 태국의 정정 불안으로 인해 대회 개최가 6월 6일부터 6월 14일로 연기되었고, 추가 연기를 거쳐 8월 1일부터 8월 9일까지 개최되었다.
2. 1. 엠블럼
엠블럼은 아시아를 상징하는 "A"와 무술 스포츠를 상징하는 "M"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 문자가 연결된 형태는 현대성, 활동성, 단순성을 나타내며, 아시아 국가 간의 우정과 평등, 결속력을 의미한다.[1]전체적인 엠블럼 디자인은 현대 미술과 태국 전통 미술의 조화를 보여준다. 붉은색은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OCA)의 주요 색상으로, 투쟁 정신과 마음을 나타낸다. 금색은 태국 왕국의 밝음과 더불어, 2009년 제1회 아시안 무술 경기를 개최하기 위한 창의성과 결단력을 상징한다.[1]
2. 2. 마스코트
마스코트는 태국의 서사시 라마야나에 등장하는 하얀 원숭이 신 하누만을 모티브로 한 '하누만 윈디'이다.[2] '윈디'는 태국어로 '만족'과 '기쁨'을 의미하며, 조직위원회는 이 마스코트를 통해 모든 아시아인들에게 따뜻한 환영과 지속적인 우정과 연대의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다.[2]3. 경기 종목
2009년 아시아 무술 대회에서는 다음과 같은 9개의 무술 종목 경기가 진행되었다.
3. 1. 정식 종목
유도, 주짓수, 가라테, 킥복싱, 쿠라쉬, 무에타이, 펜칵 실랏, 태권도, 우슈4. 경기 시설
2009년 아시아 무술 대회는 방콕과 수판부리의 여러 경기장에서 분산 개최되었다. 각 경기장과 해당 종목은 다음과 같다.
경기장 | 종목 |
---|---|
후아막 실내 경기장 | 가라테, 태권도 |
니미부트르 경기장 | 무에타이 |
찬타나 잉용 체육관 | 킥복싱 |
타이-재패니즈 청소년 센터 | 유도, 주짓수, 쿠라쉬 |
수판부리 실파-아차 체육관 | 우슈 |
수판부리 수판부리 스포츠 학교 차오파 마하차크리 시린톤 체육관 | 펜칵 실랏 |
4. 1. 방콕
경기장 | 종목 |
---|---|
후아막 실내 경기장 | 가라테, 태권도 |
니미부트르 경기장 | 무에타이 |
찬타나 잉용 체육관 | 킥복싱 |
타이-재패니즈 청소년 센터 | 유도, 주짓수, 쿠라쉬 |
수판부리 실파-아차 체육관 | 우슈 |
수판부리 수판부리 스포츠 학교 차오파 마하차크리 시린톤 체육관 | 펜칵 실랏 |
4. 2. 수판부리
수판부리의 실파-아차 체육관에서는 우슈 경기가 열렸고, 수판부리 스포츠 학교의 차오파 마하차크리 시린톤 체육관에서는 펜칵 실랏 경기가 열렸다.5. 참가국
2009년 아시아 무술 대회에는 아시아 45개국 중 37개국이 참가하였다. 참가국은 다음과 같다.
참가국 |
---|
5. 1. 불참국
아시아 45개국 중 37개국이 참가했다. 이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아랍에미리트, 사우디아라비아, 동티모르는 불참했다. 이란은 신종 플루 감염 우려로 이란 올림픽 위원회가 대회 불참을 권고하여, 종합 순위 상위권을 노리던 유력한 우승 후보였음에도 불구하고 대회에 참가하지 않았다.[3] 팔레스타인,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은 이번 대회에 선수단을 파견하지 않았지만, 태권도 종목에서는 대회 직전에 불참을 결정하여 선수들이 추첨에 포함되었다.[4]6. 경기 일정
(토)
(일)
(월)
(화)
(수)
(목)
(금)
(토)
(일)